|
흔하게 발생하는 요통이나 척추 질환이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척추 질환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 갑자기 허리가 아프거나 불편해지는 느낌은 한 번쯤 겪어보았을 것이다. 척추 질환은 디스크, 협착증, 측만증, 전방전위증, 염좌 등 다양하므로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질환의 진단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척추 질환으로 대표되는 허리디스크의 정식 의학 명칭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하는데, 생활 속 자세 불균형, 노화, 교통사고, 부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 디스크가 탈출해 척추 형태가 변형되면서 신경을 눌러 갖가지 증상이 유발된다.
허리디스크 초기라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 비교적 간단한 치료만으로 충분히 개선할 수 있으며 개인에게 알맞은 생활 속 관리를 꾸준히 진행하면 재발 방지도 가능하다.
하지만 허리디스크가 중증 이상의 상태일 때는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 경막외신경감압술 등을 시행한다. 신경차단술은 C-ARM기기를 이용해 모니터로 실시간 확인하면서 통증의 원인이 되는 신경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단시간 내에 완화하는 치료법이다.
신경성형술은 꼬리뼈를 통해 얇은 관을 넣어 척추관의 염증을 제거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에 직접 약물을 주입해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이다. 경막외신경감압술은 신경의 압박감을 해소하고 유착, 염증 등의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통증을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이외에도 경막외풍선확장술, 유착박리술, 고주파수핵감압술 등 다양한 치료법 중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수 운동치료, 재활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을 병행하는 게 도움이 되며 생활 속에서 스스로 자세를 반듯하게 유지하고 허리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무리하지 않게 진행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다.
도움말: 김포 연세더바른병원 신경외과 의학박사 박용기 원장
<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