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20일 수출금액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6% 늘었다.
이에따라 연초부터 무역 등 국내 경기에 충격을 준 코로나19 사태에서 벗어나 수출이 7개월 만에 상승 반전할지 주목된다.
이 기간 조업일수(15.5일)는 작년(13.5일)보다 2일 많았다.
조업일수 차이를 반영한 1일 평균 수출액은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월간 수출액은 코로나19에 따른 무역 충격으로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 연속 감소하며 부진을 이어갔다.
조업일수를 고려하지 않은 통계에서 무선통신기기(-9.1%), 석유제품(-45.6%), 선박(-26.5%) 등의 수출품목 수출액이 저조했다.
반면 반도체(25.3%), 승용차(38.8%), 정밀기기(14.7%)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수출 상대국별로 보면 일본(-18.5%)과 중동(-12.2%)으로는 수출액이 감소했지만, 중국(8.7%), 미국(16.1%), 베트남(5.8%), 유럽연합(EU·9.6%)으로는 증가했다.
이 기간 수입은 251억달러(약 29조 1700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8%(18.3억달러) 감소했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44.7억달러 흑자를 냈다.
조업일수를 고려하지 않은 통계에서 원유(-29.2%), 정밀기기(-1.7%), 가스(-39.0%) 등의 수입은 줄어든 반면 반도체(12.6%), 기계류(6.8%), 승용차(29.5%) 등은 늘었다.
수입 상대국별로는 미국(-5.3%), 일본(-10.3%), 중동(-40.7%), 베트남(-14.6%) 등으로부터 수입액이 감소했지만, 중국(2.5%), EU(7.1%), 호주(6.0%) 등은 증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