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중 국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허가가 완료될 것으로 전망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5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 업무계획'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들 관계 당국은 코로나19 조기 극복을 위해 ▲방역역량 극대화 ▲백신·치료제 조기 도입과 개발 ▲전국민 무료 예방접종 시행 등을 최우선과제로 추진한다.
우선 식약처는 코로나19 관련 의약품의 허가신청 전부터 심사자료를 미리 검토하고 허가전담 심사팀을 운영해 백신과 치료제 조기도입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외부 전문가 자문을 3중으로 강화해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다. 기존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의 자문에 안전성·효과성 검증자문단, 최종점검위원회를 추가한 것이다.
국내·외에 공급될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백신은 WHO(세계보건기구)의 국제 공동심사 참여요청에 따라 현재 식약처가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식약처는 코로나19 백신의 품질을 철저하게 검증하고 연중 이어질 국가출하 승인에 대비 중이다. 검사 소요기간을 현행 2~3개월에서 20일 이내로 단축해 2월 내 접종이 가능하게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총 4563억원(2020년 1936억원, 2021년 2627억원)을 투입해 치료제는 2월, 백신은 연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11월까지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9월까지 전 국민 70%에 대한 1차 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
접종 우선순위는 안전성, 투명성, 공정성의 원칙 하에 ▲1분기는 요양병원·노인의료복지시설,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2분기는 65세 이상, 의료기관·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 등 ▲3분기는 만성질환자, 성인(19~64세) 등에 대한 1차 접종을 시작한다.
4분기에는 2차 접종자, 미접종자의 접종이 이뤄질 예정이다.
백신 유통은 백신별 맞춤형 콜드체인 유통 관리 체계를 구축해 보관온도나 운행경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유통 전단계의 상황을 관리·대응할 수 있는 수송지원본부를 편성해 유통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상사례를 모니터링 해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했다.
백신 접종은 특성에 따라 접종센터(약 250개소) 또는 의료기관(약 1만개소)에서 접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며 집단생활시설 어르신 등을 위한 찾아가는 예방접종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안전하고 신속한 예방접종을 위해 백신 도입부터 접종, 사후관리까지 총력 대응하고, 국민들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소통하고 가짜뉴스에는 범정부 협업을 통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