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개인 투자자, 올해 삼성전자에 13조 쏟아부었지만 수익률은 '마이너스'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1-02-08 11:21


개인 투자자들이 올들어 가장 많이 순매수한 국내 증시 종목은 삼성전자였지만 수익률은 그만큼 높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개인은 삼성전자 보통주를 11조359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우선주는 2조516억원 매수 우위를 보이면서 삼성전자 주식만 13조4106억원어치를 순매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개인 투자자가 유가증권시장에서 순매수한 전체 금액 23조5596억원의 절반을 훌쩍 넘는 규모다. 새해 들어 증시에 유입된 개인 투자자가 많아지면서 이들의 매수세가 삼성전자에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

개인은 지난달 첫 주부터 삼성전자(보통주)를 2조500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둘째 주에는 3조 8500억원, 셋째 주에는 1조4000억원, 넷째 주에는 2조8600억원어치를 사들이며 꾸준한 매수 우위를 보였다.

그러나 수익률은 그다지 높지 못했다. 올해 개인의 삼성전자 평균 매입 단가는 약 8만6500원으로 지난 5일 종가 8만3500원을 웃돌았다. 수익률로는 -3.5%다. 이때 평균 매입 단가는 개인들의 순매수 금액을 순매수 수량으로 나눈 값을 뜻한다.

지난달 11일 삼성전자 주가는 9만1000원으로 마감하며 종가 기준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삼성전자의 주가는 8만원대로 내려앉은 상태다.

올해 새롭게 삼성전자 주식에 진입한 개인 투자자라면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다.

실제 주식 관련 온라인 게시판을 살펴보면 '86층(8만6000원)에 갇혔다', '9만원 위에서 샀다'는 등의 글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서승연 흥국증권 연구원은 지난 1일 "D램 업황 개선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매출과 시장 점유율이 확대돼 재평가(리레이팅)되는 데 따른다"라고 밝히며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기존 9만원에서 9만7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여전하다.

노근창·박찬호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클라우드 수요 확대, 통신사들의 엣지 컴퓨팅(데이터 일부를 분산된 소형 서버를 통해 처리하는 방식) 수요 증가를 고려할 때 서버 D램 가격 상승 폭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