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1월 밥상물가 상승률, OECD 중 4위…작황 부진에 명절 수요까지 겹쳐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1-03-08 08:26 | 최종수정 2021-03-08 11:27


올 1월 한국의 밥상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4위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6.5% 올랐다.

이는 OECD 전체 평균 3.1%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며 37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18.1%), 칠레(7.8%), 아이슬란드(6.7%)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치다.

한국 식품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지난해 1월 1.8%를 기록하며 줄곧 1%대에 그쳤지만 같은 해 7월 4.3%로 오르면서 하반기 들어 오름폭을 키웠다.

이후 8월(6.6%), 9월(8.3%), 10월(8.2%), 11월(6.9%), 12월(6.2%)까지 줄곧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2월은 한층 심각한 수준이다. 2월 식품 물가 상승률은 9.7%로 2011년 8월(11.2%) 이후 9년 6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승률에는 최근 작황 부진에 조류 인플루엔자(AI) 사태, 명절 수요 증가가 한데 겹치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급등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파 가격은 1년 전보다 227.5%나 급등하면서 1994년 5월(291.4%) 이후 2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뿐 아니다. 달걀 가격 상승률은 41.7%로 2017년 8월(53.3%)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사과(55.2%). 고춧가루(35.0%), 돼지고기(18.0%) 등도 큰 폭으로 가격이 올랐다.

때문에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1% 오르면서 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물가가 적정 수준을 넘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는 입장이다.

KDI 관계자는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경기 회복으로) 수요가 늘면서 물가가 올라가는 모습인데, 작황 부진이나 AI 등 공급 측 요인으로 물가가 올라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물가가 목표 수준을 훨씬 벗어나서 과도한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경우는 여전히 작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계란·채소류 등 주요 농축산물의 가격과 수급 여건 집중 점검에 나서는 한편, 가격 강세가 지속되는 품목을 중심으로 정부 비축분 방출과 수입 확대 등을 통해 가격 안정에 주력할 방침이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