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쏘시오그룹의 계열사인 에스티팜은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신규 유전자 약물 전달체 플랫폼 기술의 공동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공동 개발로 약물 전달체의 온도 안정성이 개선되면 mRNA 백신의 가장 큰 문제점인 냉동보관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NA 중 특히 mRNA는 작은 온도 변화 등 주변 환경에 매우 취약하고 우리 몸 속에서 수많은 분해효소들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 또한 분자량이 커 세포막 통과가 매우 어렵다.
현재 가장 시급한 mRNA 기반 COVID-19 백신 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지만 모더나, 화이자/바이오엔테크, 큐어백 등 소수의 회사만이 가진 첨단 기술이다. 국내에는 이 기술을 보유한 업체가 전무하다.
향후 에스티팜은 자체 연구 중인 LNP 플랫폼 기술과 함께 이혁진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신규 LNP 플랫폼 기술을 추가로 확보해 감염병 및 항암 백신과 치료제 분야에서 자체 신약 개발과 CDMO에 폭 넓게 적용할 예정이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LNP플랫폼 기술은 현재의 COVID-19 뿐만 아니라 COVID-19의 변이, 그리고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항해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백신 주권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며 "이번 공동 개발로 신규 LNP플랫폼 기술을 추가로 확보해 mRNA 및 siRNA를 아우르는 RNA 유전자 백신과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기업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에스티팜은 mRNA 합성과 항체 생성에 중요한 핵심 기술인 5'-Capping 플랫폼 기술을 이미 확보해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글로벌 특허를 준비 중이다. 또한 mRNA 대량생산을 위한 전용 GMP 공장의 증설이 상반기 중에 완료되면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COVID-19 백신 기준 연간 240만 도즈의 mRNA 원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향후 연간 1억 2000만 도즈 규모의 설비 증설도 검토 중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