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가정형 식기세척기 수출이 2억달러(약 2250억원)를 넘기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가전시장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문화 확산과 홈코노미(홈+이코노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가사노동을 줄이려는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 식기세척기는 사물인터넷(IoT) 적용과 디자인 향상 등 소비자 편의성 확대를 통해 이용 편리성을 높이고 있는 만큼 향후 시장 판매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무혁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1일 발표한 '유망품목 AI 리포트 - 가정형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가정형 식기세척기 수출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2억4578만달러(약 28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AI가 주요 58개국의 국내총생산(GDP), 인구, 수입 증감률 등 9개 지표를 종합해 평가한 결과 가정형 식기세척기의 수출 잠재력이 가장 높은 시장은 미국(83.1점), 러시아(80.3점), 독일(78.1점) 순이었다. 미국은 우리나라 가정형 식기세척기 최대 수출시장이다. 작년 수출 실적은 1억4980만달러(약 1700억원)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한국산 식기세척기는 미국 '2020 생활가전 소비자 만족도 평가'에서 해당 부문 1위에 선정된 점,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2020 IDEA 디자인 어워드'에서 사상 최초로 대상에 올랐다는 점 등에서 수출 전망도 밝다는 평가다.
양지원 무역협회 연구원은 "한국 가정형 식기세척기는 스마트 가전화, 디자인 향상, 틈새시장 진출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고 있다"며 "가구 규모별로 시장을 세분화해 제품을 다양화하고 살균·세척에 관련된 기술 향상에 힘쓴다면 더 많은 수출 판로를 개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