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기대수명이 평균 15~25년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꾸준히 항정신병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소득수준 및 기저질환 등을 보정해 분석한 결과, 항정신병약제를 꾸준히 복용한 조현병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전체적인 사망 위험비가 0.79배 낮은 것으로 나타나 21% 감소 효과를 보였다.
특히 분석에 이용된 12개의 사망 원인 중에서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45% 감소했으며, 뇌졸중으로 사망할 위험은 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세계 여러 연구 결과들은 조현병 환자에서 지속적인 항정신병약제 복용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국가와 연구 방법마다 결과에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오지훈 교수(제1저자)는 "조현병 환자가 치료약물인 항정신병약제를 꾸준히 복용할 경우 전체적인 사망 위험을 낮출 뿐 아니라, 특히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를 크게 낮춘다는 데서 조현병 환자의 약제 복용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 연구는 항정신병약제가 어떻게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지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살핀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항정신병약제가 심혈관계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
연구 책임자인 김태석 교수는 "현대 정신의학에서 조현병의 일차 치료는 항정신병 약제를 이용한 약물치료가 특히 강조되고 있지만, 환자 본인이나 가족의 조현병 치료 자체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약물 치료에 대한 오해와 부작용 걱정 등으로 현실적으로 치료의 어려움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라며, "약물 치료로 사망률이 낮아질 수 있다는 이번 연구의 결과는 조현병의 항정신병 약물 치료가 왜 반드시 필요한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조현병 연구(Schizophrenia Research)' 1월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