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명 중 3명은 코로나19 이후 회사에 실망하게 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최근 직장인 643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직장생활 변화'를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33.0%는 '원래도 별로였지만 여전히 혹은 더욱 별로라고 생각하게 됐다'고 답했으며, '전에는 회사를 괜찮게 평가했지만 코로나19 이후 크게 식어버렸다'는 응답이 28.6%를 차지하는 등 61.6%의 직장인이 회사에 대한 실망감을 느끼게 됐다고 답했다. 반면 '이전과 달리 회사를 좋아하게 됐다'는 응답은 26.6%, '원래도 회사를 좋아했지만 더 좋아졌다'는 응답은 11.8%에 그쳤다.
직장인들이 회사에 실망한 이유(복수응답) 1위는 '직원의 안전보다 회사의 이익을 우선으로 한다는 느낌이 들어서(44.2%)'였다. 2위는 '무급휴직, 급여삭감 등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어서(34.1%)'가 차지했다. 이어 '경각심 없이 행동하는 상사, 동료들에 질려서(26.5%)'와 '매출 하락 등 앞으로 비전, 전망이 어둡다는 생각이 들어서(26.3%)'가 근소한 차이로 3, 4위를 다퉜다. '재택근무 미시행 등 직원의 요구를 모른 척 해서(21.7%)', '이 시국에도 회의, 출장, 외근 등 경각심 없는 업무 스타일 때문에(20.7%)', '회사의 지원 없이 직원 개인의 위생, 보건만 강조해서(20.5%)' 등도 직장인들이 회사에 실망하게 된 이유로 꼽혔다.
이와 달리 '회사에 만족하게 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이 시국에 고용불안감 없이 다닐 수 있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워서(58.3%)'를 절반을 웃도는 높은 응답률로 1위에 꼽았다. 2위는 '마스크, 개인위생 용품 지급 등 섬세하게 직원을 챙겨줘서(30.0%)'가, 3위는 '이런 시국에도 흔들림 없는 건실한 회사라서(29.1%)'가 각각 차지했다. 여기에 '재택근무제 시행 등 직원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줘서(24.3%)', '정부 방역정책에 준해 할 수 있는 조치를 성실하게 취해줘서(17.3%)', '진심으로 직원을 위하고 아끼는 회사라는 느낌이 들어서(11.7%)', '가족돌봄 휴가지원 등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도록 배려해줘서(11.3%)'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한편 직장인 79.0%는 '현재 워라밸이 잘 지켜지고 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워라밸의 변화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61.9%가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답한 가운데 '이전보다 잘 지켜지고 있다(19.9%)'는 응답과 '이전보다 지켜지지 않는다(18.2%)'는 응답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코로나 이전보다 워라밸이 잘 지켜진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코로나 통금 이후 일찍 퇴근하는 분위기 조성(47.7%)'과 '회식, 번개가 사라져서(46.1%)'를 각각 1, 2위에 꼽았다. 여기에 '재택근무 시행으로 업무시간을 오롯이 내가 컨트롤 할 수 있어서(39.1%)', '미팅, 외근 등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사라져서(35.2%)'도 적지 않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워라밸이 더 악화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본 업무 외에도 챙겨야 할 잡무 증가(45.3%)', '재택근무, 유연근무제의 미도입(41.9%)', '업무생산성, 효율의 저하(36.8%)' 등을 그 이유로 꼽아 차이를 보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