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에 자체 간편결제시스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간편결제는 신용카드나 계좌번호 같은 결제정보를 모바일 기기 등에 미리 등록하면 간단한 비밀번호 입력이나 지문인식만으로 결제할 수 있게 한 방식이다. 업체를 대표하는 특정 문구를 내세워 'OO페이'를 서비스 하고 있다. 소비자의 간편결제 사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OO페이' 도입 확대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7월 GS홈쇼핑과 통합을 앞둔 GS리테일은 디지털커머스 강화 전략의 일환으로 'GS페이'라는 이름의 계열사 전용 간편결제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통합에 맞춰 GS25와 GS수퍼마켓, 랄라블라 등 GS리테일의 소매 사업장과 GS홈쇼핑에 적용하고 이후 GS칼텍스 등 GS그룹사로 사용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랜드그룹은 6월 'E페이'라는 이름의 자체 간편결제 시스템 출시를 계획하고 있고, 현대백화점그룹은 최근 'H.포인트 페이'라는 이름을 상표권 등록하며 사업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한편 유통업계에서는 장기적으로는 간편결제시스템을 통해 쌓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이데이터 사업이나 빅데이터 컨설팅 사업 등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흩어진 개인 신용정보를 한곳에 모아 보여주고 재무현황·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적합한 금융상품 등을 추천하는 등 자산·신용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다. 엘페이를 운영하는 롯데멤버스는 공식적으로 '데이터 서비스 기업'을 표방하고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