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이나 헤어제품, 음식물 방부제로 흔히 사용하는 메틸파라벤의 체내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소양증 및 아토피 습진의 발생률이 증가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미국 질병관리본부가 주관하는 2005~2006년 미국 국가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총 다섯 가지 화학물질의 체내 농도와 피부 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다섯 가지 화학물질 중 페놀계 화학물질은 치약이나 손세정제에 사용하는 트리클로산, 일회용 용기나 플라스틱 용기의 내면 코팅제로 사용하는 비스페놀A, 자외선 차단제의 활성 성분인 벤조페논-3이다. 파라벤 성분은 화장품이나 헤어 제품, 음식물 방부제로 많이 사용하는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을 분석했다.
트리클로산의 체내 농도가 높을 경우 아토피 습진 및 소양증의 발생 위험도가 유의하게 감소됐다.
김수영 교수는 "구강 청결과 손 위생은 피부 장벽이 깨진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를 막고, 체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맞춰 세균감염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화장품, 헤어제품, 개인생활용품에 포함된 방부제 성분에 과다하게 노출될 경우 피부 가려움증이나 아토피 습진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방부제에 과도한 노출에 대해 주의가 필요한 것을 확인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김수영 교수팀의 연구는 국제학술지 (SCIE)인 북미알레르기피부염학회의 공식 학술지 Dermatitis 2021년 3·4월호에 '페놀 및 파라벤의 요중 농도와 피부소양증 및 아토피 피부염 발생의 연관성 분석'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