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변이 유전자 보유 여부가 영아연축, 일명 '웨스트 증후군'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연축이란 생후 1년 이하의 아기가 온 몸을 반복적으로 뻗는 양상의 경련을 보이는 난치성 소아 뇌전증으로 소아 뇌전증 중 2%를 차지하며, 지능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필수적인 질환이다.
영아연축의 치료 결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유전자 돌연변이의 유무 여부였다. 뇌전증은 뇌세포의 돌연변이가 중요한 원인인데, 혈액으로 하는 유전자 검사에서 돌연변이가 확인될 정도의 환자들은 확인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뇌에서의 돌연변이가 더 심할 것이며, 이로 인해 치료 결과도 달라질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최한솜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영아연축의 조기 치료가 치료 결과를 바꿀 수 있다는 기존 개념에서 나아가, 유전자 변이 또한 치료 결과에 중요한 원인임을 밝혔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공동 교신저자이자 연구 진행자 강훈철 세브란스병원 소아신경과 교수는 "영아연축을 치료할 때 돌연변이 유전자가 발견된 환자들은 기존의 기본치료와 더불어 유전자 별로 맞춤 약물치료를 함께 해야 경련조절 및 인지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뇌전증 분야의 권위 있는 전문 학술지인 '에필렙시아(Epilepsia)'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