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세가 수그러들 기미가 안보이면서, 경기 회복에 기대감을 보였던 기업들에게도 비상등이 켜졌다.
경영상 어려움은 거리두기 강화로 인한 '소비 둔화로 매출 현격한 감소'(40.4%, 복수응답)가 가장 컸다. 계속해서 '경영상황 악화'(39.7%), '영업 활동 위축'(29%), '채용 어려움'(23.1%)을 겪고 있는 기업이 많았고, '자가격리, 재택근무 등으로 효율성 하락'(13.1%), '해외로부터 자재수급 난항'(10.9%), '확진자 발생으로 사업장 폐쇄 등 생산성 하락'(10.5%) 등의 어려움도 있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인력 운용에 변화가 있다는 기업은 10곳 중 3곳(28.8%)이었다. 변화를 둔 부분은 역시 '채용계획 전면 취소 및 보류'(30.8%, 복수선택)가 가장 많아 취업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어 '연차소진 장려'(28.2%), '근로시간 단축'(20.5%), '전사 재택근무 진행'(19.9%), '구조조정 검토'(17.3%), '무급휴가'(16%) 등의 응답이 있었다.
기업들은 코로나19를 대응하기 위해 '주기적인 사무실 소독'(56.1%, 복수응답)을 최우선으로 두었고, '비대면 회의 의무화'(25.5%), '재택/원격 근무 제도화'(22.9%) 등을 운영 중이었다.
한편, 코로나19로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기업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대기업의 52.2%는 '재택근무 진행'이라고 답한 반면 중소기업은 18.4%만이 재택근무 시행 중이었다. 시행 안 하는 이유도 대기업은 '원래 재택근무를 하지 않아서'(42.4%, 복수응답)가 가장 많은 반면, 중소기업은 '재택근무 시스템 마련이 어려워서'(34.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유연한 기업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업별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