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두증은 다소 생소한 병이다. 주요 증상으로 보행 및 배뇨장애, 기억저하가 나타나는 탓에 파킨슨병과 혼동하기 쉽지만, 수술적 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질환이다.
정상압 수두증은 과다 축적된 뇌척수액을 제거해주면 뇌 조직의 압박이 줄어들어 증상이 호전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요추 사이 공간에 주사 바늘을 찔러 뇌척수액을 빼내는 간단한 시술로 증상의 호전 여부를 확인한다. 하지만 뇌척수액은 우리 뇌 안에서 계속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배액 효과가 오래 지속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시술 후 증상이 호전되면 뇌척수액을 복강으로 빼주는 션트 수술로 정상압 수두증을 치료한다. 파킨슨병의 경우에는 약물 요법이 주된 치료이나 정상압 수두증에서 약물 요법은 효과가 없다.
일반적으로 정상압 수두증은 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박영호 교수 연구팀이 정상압 수두증 환자에서 파킨슨병이 동반된 사례를 보고하며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신경과 박영호 교수는 "정상압 수두증은 70세 이상 노인 100명 중 두 명에서 볼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라며, "이 환자의 경우 정상압 수두증으로 진단받았지만 렘수면행동장애와 서동증이 심해 실시한 PET 검사에서 파킨슨병 소견이 나타나, 뇌척수액 배액과 함께 파킨슨병 약제를 복용하며 증상이 더욱 개선된 경우"라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정상압 수두증은 이렇게 수술적 치료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노년기에 기억저하와 함께 보행 및 배뇨장애가 나타날 때에는 정상압 수두증인지 확인이 필요하고, 특히 정상압 수두증을 앓더라도 렘수면행동장애가 있거나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진다면 파킨슨병이 동반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