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자가 늘면서 '고수익 투자정보' 광고에 현혹돼 유사투자자문서비스에 가입했다가 피해를 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한국소비자원이 주의를 당부했다. 유사투자자문서비스는 일정한 대가를 받고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간행물ㆍ출판물ㆍ통신 또는 방송 등을 통해 주식 등 금융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그러나 피해 유형 중 '계약해지' 관련 피해가 94.9%를 차지해 막상 계약하면 중도 해지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계약해지 관련 피해 유형은 계약 해지를 거부하거나 연락을 회피하며 처리를 지연하는 '환급 거부·지연'(69.8%), 납부한 이용료가 아닌 고액의 정상가를 기준으로 위약금을 청구하는 '위약금 과다청구'(25.1%) 등이 대부분이었다.
피해구제 신청자의 연령대가 확인된 3045건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50대가 31.1%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22.8%), 60대(21.0%) 등 순이었다.
20대와 30대는 피해구제 신청 건수 자체는 다른 연령대보다 많지 않았지만, 피해구제 신청 증가율은 2019년과 비교하면 각각 58.9%, 17.4%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소비자원은 유자투자자문서비스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높은 수익률을 제시하는 경우 불법 여부를 의심해 볼 것, 가입 전 계약내용과 해지에 따른 비용 등을 꼼꼼히 확인할 것, 계약 후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맹신하지 말 것, 계약해지 시 해지신청 근거를 반드시 남길 것 등을 당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