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지난 30년 간 주요 경제지표에서 일본을 추월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광복절을 앞두고 1990년 이후 한일 간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한 결과다. 다만 과학 기술 분야는 여전히 일본에 뒤처져 있어 기술 경쟁력 확대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는 지적이다.
제조업 경쟁력에서도 한국은 일본을 앞질렀다.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의 세계 제조업 경쟁력 지수(CIP)의 경우 1990년 한국과 일본의 순위는 각각 17위, 2위였지만 2018년에는 한국이 3위로 올라가고, 일본은 5위로 떨어졌다.
그러나 한국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기초기술 강국인 일본에 크게 뒤졌다. 글로벌 연구개발(R&D) 1000대 투자 기업 수에서 2020년 기준 일본은 한국보다 5배 이상 많은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소재·부품 분야에서 한일 경쟁력을 나타내는 한국의 소재·부품 대일적자 규모는 1994년 83억 달러에서 2020년 154억 달러로 2배 가량 증가했다. 기초과학과 원천기술 경쟁력을 나타내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도 한국은 전무했지만, 일본은 지난해까지 24명을 배출했다. 전경련은 "해외직접투자액 등에서는 여전히 일본과의 격차가 크고, 기초과학기술 분야 투자와 경쟁력에서는 크게 뒤떨어진다"며 "정부의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R&D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