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깡마른 몸이 대세였다면 요즘에는 적당한 근육이 있는 탄탄한 몸매가 대세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일명 '홈트'라고 하는 홈 트레이닝과 바디프로필 촬영이 유행하고 여름철 노출을 위해 몸매를 급하게 만들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분위기다.
단백질은 신체 주요 기능 및 체조직을 구성하는 3대 영양소로 근육이나 피부조직 구성에 영향을 줘 운동 시 자주 언급되는 영양소이다. 또한 부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칼로리로 같은 양의 탄수화물이나 지방과 비교했을 때 칼로리가 낮아 단백질 식단이 선호된다.
하지만 단백질 열풍의 문제는 이를 과잉 섭취하거나 다른 영양소 없이 단백질로만 구성된 식단은 오히려 건강에 해롭다는 점이다. 단백질을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게 되면 분해하는 과정에서 체내 질소 노폐물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신장에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우리나라 식습관 상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높은 편인데 동물성 단백질로만 고단백 식사를 할 경우 산성의 황아미노산 중화로 칼슘 손실이 높아져 골다공증 위험률이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물성 단백질은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고 이는 성인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대동병원 인공신장센터 이가희 과장(신장내과 전문의)는 "건강한 다이어트를 위해서는 어떤 단백질을 얼마나 섭취할지에 관심을 둬야 한다"며, "성인 기준 총 에너지 섭취량의 15%가 좋으며 체중 1㎏당 1g으로 계산해서 섭취하도록 하며 동물성 단백질인 닭가슴살만 먹기보다는 두부나 콩 등 식물성 단백질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