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취업문이 좁아진 탓에 원하는 조건보다 눈높이를 낮추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구직자 10명 중 7명이 올해 입사지원 시 눈높이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눈높이를 낮춘 조건은 '연봉 수준'(58.8% 복수응답)이 1위였다. 다음으로 '계약직 등 고용형태'(35.8%) '기업 형태 및 규모'(32.3%) '위치(지역) 및 출퇴근 거리'(30.4%) '야근 주말 근무 등 근무환경'(21.3%) '복리후생'(20.4%) '기업 인지도'(17.2%) 등의 순이었다.
이 때 '연봉'을 낮췄다는 구직자들(459명)이 애초 희망한 연봉은 평균 3351만원으로 집계됐으나 눈높이를 낮춘 연봉은 평균 2894만원으로 희망 연봉 대비 457만원을 낮춘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4.8%는 '눈높이를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눈높이를 낮추려는 이유는 '빨리 돈을 벌어야 해서'(56.2%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경영 환경 악화로 앞으로도 채용이 많지 않을 것 같아서'(46.1%) '오랜 구직활동에 지쳐서'(44%) '남들보다 스펙 등 강점이 부족해서'(25%) '일단 취업하면 이직 중고신입 지원 등 다른 기회가 생겨서'(23.7%) '전공 경험과 맞지 않은 직무 분야에 지원할 것이어서'(11.9%)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이 눈높이를 낮춘 회사에 합격할 경우 예상하는 근속 연수는 '2년'(25.7%) '3년'(23%) '5년 이상'(22.6%) '1년'(19.5%) '4년'(9.1%)의 순으로 68.2%가 3년 이하 짧은 기간을 다닐 것으로 계획하고 있었다.
한편 '눈높이를 낮추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구직자들(281명)은 그 이유로 '맘에 드는 곳에 입사 후 오래 다니고 싶어서'(57.3%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구직활동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되어서'(25.3%) '목표로 하는 기업들이 채용을 해서'(19.6%) '개인 사정상 포기할 수 없는 조건이 있어서'(19.2%) '스펙 등 남들보다 확고한 강점이 있어서'(16%) '목표로 하는 업종들은 업황이 좋아서'(12.8%) 등을 들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