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이상적인 음식으로 평가받는다. 실제 모유는 아기의 지능과 신체 발달에 필요한 영양소와 면역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 모유수유를 하는 동안 엄마와의 피부 접촉 등을 통해 정신건강, 정서나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모유수유를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헷갈려하는 엄마들이 적지 않다. 이유식을 시작하는 생후 6개월이 되면 모유를 끊어야 한다는 얘기도 있고, 첫돌 무렵이 적기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현실적인 문제가 따르긴 하지만, 모유는 아기가 원하고 엄마가 줄 수 있는 한 계속 주는 게 가장 좋다. 대한모유수유의사회는 생후 12개월 이상, 세계보건기구와 유니세프는 생후 24개월 이상의 모유수유를 권장하고 있다.
최세경 교수는 "모유수유 기간은 엄마와 아기의 상황을 고려해 판단해야 한다"며 "엄마의 편의 때문에 일방적으로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것(단유)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전했다.
다만 모유수유의 양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게 좋다. 모유수유를 오래 하면 단유가 더 어렵지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 오히려 모유수유를 서서히 줄이면 단유를 더 쉽게 할 수 있다.
생후 6개월부터는 모유수유만으로는 철분 섭취 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모유수유를 병행하면서 이유식을 시작하도록 하고, 돌 이후에도 우유보다는 모유수유를 우선으로 하는 게 좋다.
최세경 교수는 "모유는 우유보다 영양 면에서 월등한 가치가 있고 생후 6개월이나 1년 후에도 아이에게 전달되는 면역물질의 양 역시 그대로 유지된다"며 "수유 시작과 마찬가지로 단유도 아이에게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행복한 여정이다. 기간에 얽매이기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