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이 대장암과 진행성 선종의 위험도(발생률)를 낮출 수 있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일반인에서 AN 위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연령 ▲성별 ▲흡연 ▲아스피린 복용 등이 연관돼 있음을 발견했다. AN은 남성에서 더 많이 발견되며 나이가 많을수록, 흡연할수록 그 위험도가 더 높았다. 반면, 아스피린을 장기간 복용한 수검자에서는 AN 위험도가 40%로 낮아져 대장암 예방인자로써 효과를 보였다.
또 이 연구로 수검자들의 ▲용종 위치 ▲용종 크기 ▲성별 ▲용종 모양을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나무(결론에 도달할 때까지 '예/아니오' 질문을 반복해 최종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모델을 통해 용종의 조직학적 분류를 예측할 수 있었는데, 용종이 대장의 하단부(에스결장)에서 발생했고 크기가 5㎜를 초과한 경우, AN일 확률(16.5%)이 가장 높았다. 반면, 근위부(상부) 대장에 용종이 발생한 경우 비진행성 선종(NA)일 확률(63.8%)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광현 교수는 "내시경 검사는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수검자의 상태에 따라 용종이나 암의 발견 확률이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가 수검자 맞춤형 검진 체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임상연구 국제학술지인 Frontiers in Medicine지에 2021년 9월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