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불황으로 비자발적 퇴직자가 많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장년 구직자 58.1%는 자신의 주된 경력 분야가 아니더라도 재취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취업 희망 이유로는 '연령제한 등으로 기존 직종 취업 가능성 희박'(58.1%), '장기적 비전 고려 시 과거 경력 분야보다 희망 직종이 유리'(11.1%), '희망 직종이 중장년 취업에 쉬움'(10.1%) 등을 꼽았다.
구직활동에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중장년 채용 수요 부족'을 꼽은 응답자가 32.9%로 가장 많았고 이어 '나이를 중시하는 사회 풍토'(30.2%), '새로운 기술과 직무 역량 부족'(13.5%), '눈높이 조정 어려움'(10.6%)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중장년 재취업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는 '중장년에 맞는 다양한 일자리 개발'(31.2%), '중장년 채용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 확대'(15.5%), '다양한 직업전문 교육과정 운영'(14.4%) 등을 제안했다. 박철한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코로나 여파에 따른 경기 불황으로 비자발적 퇴직자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며 "중장년 구직자가 장기 실업 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중장년 채용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다각도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