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염, 척수염 등 자가면역질환과 관련해 보다 정확한 진단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연구팀은 2011~2020년 국내 11개 병원에 방문한 자가면역질환 환자 4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전까지 자가면역질환의 진단에는 혈액만을 이용했으나 혈액과 함께 뇌척수액으로 모그항체 검사를 한 결과 민감도가 22% 증가했다(혈액; 77.5%, 혈액+뇌척수액 100%). 특이도 역시 98.2%로 매우 높았다.
원인 미상의 자가면역성 신경계 염증 질환 환자의 진단을 더욱 정확하게 하기 위해 최근 혈액에서의 모그항체를 검사하기 시작했다. 이번 연구는 혈액에서 모그항체가 음성이나 시신경염, 척수염, 뇌염이 재발하는 환자가 많아 이들에서 재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혈액 외에도 뇌척수액에서 모그항체를 추가로 검사한 것이다.
김성민 교수는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은 진단에 따라 세부 치료방법에 차이가 있다. 정확한 진단이 향후 치료 경과와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정밀한 진단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신경과학회 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