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관련 또는 뇌대사관련 질환 관리의 목적으로 승인받은 약제인 콜린알포세레이트 사용과 뇌졸중 발생 간의 연관성을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연구 결과, 콜린알포세레이트를 복용한 경우 뇌질환 발생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콜린알포세레이트를 복용한 사람은 복용하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발생 위험이 각각 43%, 34%, 37% 높았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국내에서 소위 '치매예방약'으로 불리며 일부 사람들에겐 뇌 건강을 위한 영양제로 인식된다.
이경실 교수는 "콜린은 적색육, 생선, 계란 등에 풍부한 물질"이라며 "기억력 등 뇌 기능에 관여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정량을 섭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상민 교수는 "진료실에서 치매 위험이 없음에도 콜린알포세레이트 처방을 상담하는 환자들이 많다"며 "꼭 필요한 사람에 한해서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사협회저널 자매지인 '미국의사협회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