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최근 브랜드 고급화 전략으로 아파트에 다양한 옵션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관련 피해 역시 지속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는 중문 관련 불만이 25%, 붙박이장 등 가구 관련이 13.5%, 창호 관련이 11.5%로 각각 뒤를 이었다.
피해 유형별로 살펴보면 계약 불이행이 55.8%로 가장 많았는데, 옵션 종류나 시공 상태가 계약과 달라 배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어 옵션 시공 전 계약해제를 거부하거나 위약금을 과하게 요구한 사례가 23.1%, 품질 불만이 13.5% 등이었다.
옵션 상품 중 계약 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38건을 분석한 결과 평균 계약금액은 269만2000원이었다. 1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 계약건이 절반을 차지했으며 1000만원 이상 고가 계약도 1건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옵션 관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계약 시 사양을 구체적으로 계약서에 기재하고 하자 보수 책임 주체 등 계약 내용을 꼼꼼하게 살펴달라고 당부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