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기업 53% '백신 휴가 부여'…평균 1.3일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2-15 17:51 | 최종수정 2022-02-15 18:53


코로나 팬데믹 장기화 속에서 기업 절반 가량은 백신 휴가를 도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평균 1.3일 정도의 휴가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1290곳을 대상으로 '백신 휴가 부여 현황'을 조사한 결과, 52.7%가 '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 조사 결과(22.5%)보다 30.2%p 증가한 수치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73.6%)이 중소기업(50.2%)보다 백신휴가를 부여하는 비율이 23.4%p 높았다.

백신 휴가를 부여하는 이유는 '백신 부작용으로 업무가 어려울 것 같아서'(61.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백신 접종을 독려하기 위해서'(37.3%), '백신 휴가 부여에 대한 당국의 권고가 있어서'(25.1%),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서'(24.9%), '경영진의 방침이어서'(15.5%) 등이 있었다.

백신 휴가는 유급 휴가로 부여한다는 기업 92.5%로 무급휴가(7.5%)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1회 접종 당 부여하는 휴가 일수는 평균 1.3일이었다. 구체적으로는 '1일'(73%), '2일'(25.6%), '3일'(1.4)% 순으로 휴가를 부여하고 있었다.

백신 휴가를 부여하는 접종 회차는 '제한 없이 접종할 때마다 부여한다'는 응답이 72.9%로 가장 많았으나, 이외에는 '3회차(부스터샷)까지'(14.9%), '2회차까지'(9.5%), '1회차까지'(2.7%)의 순으로 제한을 두는 기업도 있었다.

접종 회차 제한이 있는 기업(198개사)의 경우, 그 이유로 '아직 3차 접종까지만 권고되고 있어서'(34.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선택했다. 다음으로 '백신 접종 횟수에 대한 당국의 방침이 바뀌고 있어서'(28.3%), '접종 회차가 늘어나면 인력 운영에 문제가 생겨서'(25.3%), '접종 회차가 늘어나면 인건비 부담이 커져서'(16.2%) 등의 순이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