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브랜드 휠라가 그룹 차원의 중장기 비전 및 브랜드 운영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전략과 투자는 브랜드 가치 재정립, 고객 경험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속 가능 성장이라는 세 가지 축에 초점을 맞췄다.
구체적인 실행전략도 제시했다. 브랜드 가치 재정립을 위해 라이프스타일 스포츠 브랜드로의 BI(브랜드 정체성) 를 재확립했다. 테니스·수상 스포츠·아웃도어 등 핵심 스포츠와 모터스포츠·동계스포츠·러닝·축구 등 비핵심 스포츠 종목으로의 이원화 및 확대를 통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와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영입 및 글로벌 전략 마케팅 디렉터를 중심으로 한 상품 마케팅 조직 구성도 계획 중이다.
온·오프라인 판매 채널을 연계한 옴니 채널 확대 구축해 고객 경험을 강화할 계획이다. 옴니 채널 전략의 일환으로 세계 주요 도시에 휠라 플래그십 스토어를 개설한다. 첫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는 올 가을 미국 뉴욕에 문을 열고, 이를 시작을 전 세계 주요 거점에 순차적으로 오픈한다.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해선 휠라의 기존 연구개발(R&D) 센터인 패스트 센터와 휠라 퓨추라 랩 신설 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그룹 차원 탄소 관리 시스템 구축, 적극적인 CSR 활동 전개 등을 주요 목표로 ESG 활동 강화에도 나설 예정이다.
휠라는 중장기 재무적 목표를 밝혔다. 2026년까지 연결기준 목표 매출액은 4조4000억원(영업이익률 15~16%)이다.
자회사로 직접 운영 중인 휠라코리아의 2026년 목표 매출과 성장률도 제시했다. 휠라코리아는 2026년 매출 7000억원 이상, 연평균 성장률 7.9%, 영업이익률 13~14%를 달성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밝혔다.
휠라는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도 약속했다. 향후 5년간 6000억원 상당의 주주 환원 예정액을 포함해 약 1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윤근창 휠라홀딩스 대표이사는 "앞으로 휠라는 전략적 계획과 재무적 투자, 핵심 자원을 통해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스포츠 브랜드'로 한 단계 더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