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공조직 이식재 70% 이상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3-10-19 09:45 | 최종수정 2023-10-19 09:45


"인공조직 이식재 70% 이상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

인공조직 이식재 70% 이상이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백종헌 의원(국민의힘, 부산 금정구)은 한국공공조직은행 및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인체조직 기증 관련 현황'을 보면 그동안 공공조직은행이 면밀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인공조직 이식재를 가공했고 이중 70% 이상이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되고 있었다고 19일 밝혔다.

백종헌 의원실은 최근 5년간 인체조직 폐기물 처리비용 현황에 따르면 늘어나는 인체조직 이식재 가공 및 사용에 따라 2019년 88만 8000원 대비 2022년 218만 4000원으로 처리비용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최근 3년간 인체조직 기증 관련 현황에 따르면 인체조직 기증자는 2020년 대비 2022년 57%, 기증희망자(누계)는 23.2% 건수는 44.6%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인체조직 기증 현황에 맞추어 인체조직 분배수익금도 2020년 대비 2022년 52% 증가하고 있었다.

이어 최근 3년간 인공조직 이식재 가공 현황에 따르면 2020년 대비 2022년 총 이식재 가공도 33.8% 증가했다.

이 가운데 뼈가 이식재 가공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2020년 22.9%, 2021년 63.8%, 2022년 48%, 2023년 (8월 기준) 53.4% 등 절반 이상 비중을 차지했다.

뼈 다음으로는 혈관이 2020년 187개, 2021년 207개, 2022년 268개로 이식재 가공이 많았다.


그러나 같은 시기 인공조직 이식재 폐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유효기간 초과로 인한 폐기가 전체 사유 중 최대 95%를 차지하며 공공조직 은행이 유효기간이 최대 5년인 인공조직 이식재를 정확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가공해 폐기하고 있다는 점이 파악됐다고 백종헌 의원은 지적했다.

최근 3년간 유효기간 초과로 인한 인공조직 이식재 폐기 현황을 분석해보면 뼈가 전체 이식재 폐기 중 50.6%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2020년에는 뼈가 전체 인공조직 이식재 중 70.5%, 2021년에는 72%, 2023년에는 56.8%를 차지했다.

2022년에는 근막이 35.6%. 피부가 35%, 뼈가 20%, 건이 4.4%, 심장판막이 2.7% 연골이 2.2%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백종헌 의원은 "공공조직은행이 국민으로부터 기증받은 소중한 인체조직을 정확한 수요·공급 분석 없이 가공해 폐기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인체조직을 기증한 분들과 유족들의 숭고한 정신이 보다 많은 수혜자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현행 시스템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인공조직 이식재 70% 이상 유효기간 초과로 폐기"
백종헌 의원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