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국가유공자가 주로 이용하는 보훈병원에서도 중증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응급실 뺑뺑이'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계된 중증 환자는 당장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는 중증 응급환자들과 중증 응급 의심 환자들이다.
전원자 수가 가장 많은 보훈병원은 서울 강동구에 위치한 중앙보훈병원으로, 응급실에 방문한 중증 환자 2천412명이 타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밖에 부산 보훈병원은 1천579명, 대구 보훈병원 716명, 광주 보훈병원 695명, 대전 보훈병원 565명 순이었다.
중앙 보훈병원의 경우 중증 환자 전원 사례 중 30%(719건)가 '병실 부족' 이유였다.
부산·대구·광주·대구 등 지방 보훈 병원의 경우 총 3천555건의 중증 환자 전원 사례 중 81%(2천877건)는 전문응급의료가 필요해 상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됐다.
올해 7월 기준 지방 보훈병원 중 전원 사례가 가장 많은 부산 보훈병원의 경우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1명에 그쳤다.
인천 보훈병원을 포함한 6개 보훈병원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결원 수는 30명이었다.
강 의원은 "병실 부족, 전문의 부족 등을 이유로 보훈병원에서 국가유공자들의 치료를 포기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며 "종합병원 수준의 위탁병원을 늘리는 한편, 충분한 수의 전문의와 중환자실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aewo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