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중소형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비율이 1년 반 만에 5배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신규 토지담보 대출을 부동산 PF 대출에 준해 취급하는 등 저축은행 여신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현행 저축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 여신은 총여신의 50%를, 부동산 PF는 20%를 넘을 수 없다. 그러나 이들 중 부동산 관련 여신 비중이 45%를 상회하는 업체는 8개사, 부동산 PF 비중이 15%를 웃도는 업체는 4개사로 집계됐다.
한신평은 지방 건설업체의 폐업과 부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방·중소형 저축은행 건전성에 추가적인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신평은 다수의 지점을 여러개 영업구역에 걸쳐 운영하는 저축은행은 다각화된 여신포트폴리오를 가지는 반면, 지방에서 단일지역 영업을 영위하는 업체는 소속된 지역경제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건전성 지표 악화에 대해 기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내년부터는 신규로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에 대해서 부동산 PF에 준해 분류하도록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총 신용공여액의 20%까지 부동산 PF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이 비율에 신규 토지담보대출을 포함할 예정이다.
또 금융당국은 대손충당금에 대해서 기존 토지담보대출도 부동산 PF 대출 수준으로 적립하도록 저축은행중앙회에 공문을 전달했다.
감독규정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PF 대출 취급 시 쌓아야 하는 충당금 적립 비율(정상 등급의 경우)은 2%대다. 이는 일반 대출 충당금 적립 비율인 0.85∼1%보다 배가량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들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은 1000억원 규모로 조성한 부동산 PF 지원 펀드 중 200억원가량을 다음달 중 매입·매각한다는 계획이다.
저축은행업권은 지난 9월 본 PF로 넘어가지 못하고 있는 브릿지론 단계의 부실채권(NPL)을 매입해 재매각하기 위한 용도로 1000억원 규모의 PF 지원 펀드를 조성하기도 했다.
앞서 저축은행업권은 100억원 규모의 사업장을 매입한 바 있다. 이달 중으로는 200억원 규모의 매입·매각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