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대를 앞두고 있다면 당뇨병만큼이나 관절염도 주의해야 한다.
무릎 관절염은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무릎 연골이 퇴행성 변화로 줄어들면서 뼈가 서로 맞닿아 염증과 통증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노화 이외에도 가족력이나 선천적인 관절의 모양, 비만체형,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자주 쪼그려 앉아 일하는 노동 등이 원인이다.
주안나누리병원 관절센터 김형진 병원장은 "퇴행성 관절염은 약이나 주사치료로 손상된 연골을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리기 어렵다. 만약 연골의 손상이 극심한 관절염 말기 환자라면 인공관절 수술 이외에는 통증 조절도 쉽지 않다"라며 "따라서 관절염은 '조절'보다는 '관리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과거 무릎에 부상을 당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오래 걷거나 계단을 내려올 때 무릎이 붓거나 아프다면 통증이 심하지 않더라도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형진 병원장은 "무릎 관절염이 심하다면 통증으로 걷거나 움직이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그렇게 되면 운동량이 적어져 근육이 약해지고 기초 대사량이 떨어지면서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따라서 관절염 초기 적극적인 치료로 연골의 손상을 늦추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먼저 가정에서 생활할 때 바닥에 앉는 것보다는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청소를 할 때에는 손잡이가 짧은 빗자루나 손걸레보다는 긴 막대가 달린 빗자루나 걸레를 사용해 바닥을 쓸고 닦는 것이 무릎의 부담을 덜 수 있다. 꾸준한 운동으로 하체 근력을 강화하는 것도 관절염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평지를 걷는 운동이나 실내 자전거가 효과적이며, 30분 이상 땀이 날 정도로 해야 한다. 물속에서 하는 운동도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며 하체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아쿠아로빅이나 물속에서 걷는 운동도 좋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