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서초구, 디지털트윈·IoT 기술로 교량·옹벽 안전관리

기사입력 2024-02-14 09:27

[서초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누에다리 등 3개 육교에 지자체 첫 디지털트윈기술 적용

79개 시설에 IoT센서 설치…24시간 진동·균열 모니터링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 반포동 센트럴시티 보도육교의 기둥에 센서들이 설치돼 있다. 센서는 10분마다 진동, 기울기, 균열 상태를 감지한다. 육교에 가해지는 진동과 기울기가 임계치를 넘으면 구청 담당자 컴퓨터에 경고음이 울리고 휴대전화로 문자가 발송된다. 구청 담당자는 즉시 안전관리시스템 화면을 통해 어디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한다.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는 이달부터 반포동 센트럴시티 보도육교, 서초동 누에다리, 아쿠아아트 육교를 포함한 오래된 교량·지하도·옹벽 등 79개 시설물에 디지털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시설물의 진동, 기울기, 균열 정보를 24시간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구는 육안으로 안전 점검이 어려운 누에다리 육교, 센트럴시티 보도육교, 아쿠아아트 육교 등 3개 시설에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했다.

구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안전관리시스템과 결합한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 사례"라며 "실제 구조물과 유사한 3D 모델을 구현해 확대·회전해가며 다각도로 상태를 확인, 신속하고 정확한 안전 점검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구는 또 오래된 시설물의 기둥·트러스(보 구조물) 등에 계측센서를 설치, 임계치를 초과하는 진동·균열이 지속적으로 감지될 경우 문자를 통해 안전총괄 및 시설물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상황을 전달토록 했다.

이번 사업은 2022년 행정안전부 주관 '디지털 기반 노후·위험시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사업' 공모에서 1위로 선정돼 진행됐다.

전성수 구청장은 "디지털 기반 안전관리시스템 운영으로 시설물 안전관리에 정확성을 높여 구민 안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prince@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