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인구의 약 76%가 한 번쯤 경험한다는 이명.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이세아 교수는 "이명이 한번 들리기 시작하면 그 소리에 더욱 신경이 쓰여 더 잘 들리고, 이어 더 신경을 쓰게 되는 현상이 반복된다"며 "감각신경성 난청 외 귀속 근육 경련 등에 의한 이명과 혈관 때문에 발생하는 박동성 이명도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명은 병력 청취와 설문지 평가를 통해 원인을 감별 진단하며, 난청 동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모든 이명 환자에서 정밀한 청력검사를 시행한다. 일측성 비대칭 난청이 동반되거나, 동반되는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박동성 이명이 있는 경우 영상의학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세아 교수는 "항불안제,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을 처방하기도 하지만, 약물치료만으로는 이명 완치가 어렵다"며 "이명은 소리에 집중하고 신경을 쓸수록 악화하며, 앞으로도 계속 들릴 것이라는 생각에 불안과 우울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많다. 약물치료는 이러한 우울감이나 불면 등을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말했다.
이어 "조용한 환경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어, 환경음이나 백색소음 같은 배경 소음을 깔아주는 것이 좋다. 또, 환자의 신체 및 정신 컨디션과 수면 상태도 이명과 관련이 있다.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수면을 방해하는 과음,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