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유방은 수유에 필요한 유선조직과 이를 지지하는 연부조직으로 구성된 기관으로 이 기관에 발생하는 암이 유방암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유방암 진료 인원은 2017년 20만6308명에서 2021년 26만9313명으로 30.5%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6.9%였다. 인구 10만명당 유방암 환자 진료인원도 2017년 405명에서 2021년 524명으로 29.4% 상승했다.
유방암 위험인자로 잘 알려지는 것은 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 과다 노출을 꼽을 수 있다. 이밖에 음주, 방사선 노출, 유방암 가족력 등도 유방암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
한편, 건강 관심 증대와 국가 암 검진 사업활성화로 유방암 검진이 적극 시행되면서 조기 진단되는 사례가 많아 발견 자체가 늘어난 것도 유방암 증가 이유라 할 수 있다.
진료현장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은 환자 대부분의 첫 질문은 "몇 기인가?"이다. 이 질문 속에서 환자가 실제 궁금한 것은 치료 후 생존율이다.
생존율은 유방암 기수별로 정해진 치료를 잘 받았을 때 생존율 30%가 안되는 4기와 비교하여, 0기는 98%,1기 96%, 2기 91%에 이를 정도로 높다.
박요한 전문의는 "국가 암 검진으로 많은 여성들이 유방 검진을 받고 조기 암 진단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고, 표준화된 치료법이 전국적으로 적용되면서 조기 유방암 환자의 치료 성과, 즉 생존율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전했다.
유방암 선별검사로 증상 없는 환자도 암을 찾아낼 수 있어서 젊은 나이부터 자가 검진, 유방촬영술 등 검사를 통해 조기 검진을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우선 매월 정기적인 자가 검진을 권장하는데, 폐경 여성은 한달에 한 번 정도 시간을 정해 놓고 하면 되고, 폐경 전 여성은 생리 후 4~5일째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표준검사인 유방촬영술은 유방을 누르며 시행하는 X선 검사로 이를 통한 유방암 조기 발견은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분명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국가 암 검진 사업 일환으로 40~69세 여성은 2년에 한번 유방촬영술 시행을 권고하고 있다.
유방초음파는 유방촬영술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거나 멍울 등이 만져질 때 추가로 시행한다. 국내 여성에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치밀유방은 유방촬영술로 종양을 찾아내기 힘든 사례가 많아 유방 초음파 검진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정확도 면에서 효과적이다.
멍울은 유방초음파로 발견할 수 있으나 유방암은 미세석회화 형태로도 나타나기 때문에 초음파 보다는 유방촬영술로 정확한 모양과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는 상호 보완적인 검사이다. 유방암 발생 위험성이 아주 높은 브라카(BRCA) 유전자를 보유한 환자 등은 유방MRI를 매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박요한 전문의는 "국내 유방암 현황을 보면 폐경 후 여성 비율이 점차 높아지며 선진국과 비교해 젊은 층 유방암 환자가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며 "충분히 치유 가능성이 높은 조기에 유방암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고, 비만예방 등 생활습관 개선과 정기 국가 암 검진이 유방 건강의 기본이며 필수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