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부모들은 아이가 집중하지 못한 채 부산스럽고 산만하거나,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이면 정상발달 과정 중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것인지 아니면 치료가 필요한 질환인지 불안해하기 마련이다.
ADHD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해당 아동들은 계획 실행, 충동 억제, 집중력, 판단력 등을 담당하는 전두엽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2~3년 늦게 발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부모의 양육 태도보다는,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됐다. 학계에서는 소아의 ADHD 유병률을 3~8%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3배 정도 많다고 설명한다. 국내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미디어의 영향으로 "우리 아이가 ADHD인거 같다"며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과거에 비해 치료를 받는 아이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아동들이 상당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DHD의 진단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나 ADHD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자가진단표를 통해 가정에서도 쉽게 파악해 볼 수 있다. ADHD는 주의력결핍형과 과잉행동?충동형으로 나뉘는데 각각 9가지 검사 항목 중 6개 이상에 해당하는 아이는 ADHD가 의심된다고 볼 수 있어 바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이종하 교수(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ADHD는 부모의 양육과 훈육으로 인해 발현되지는 않으나, 발병 후 증상을 바로 잡기 위해 과도하게 혼을 내는 등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양육자로서 아이와 꾸준히 상호 소통하고 칭찬을 통한 긍정적인 행동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아이가 ADHD 진단을 받으면 상심하는 부모님들이 많은데, ADHD 아동들도 탁월한 학업성적을 보이고 훌륭히 성장한 사례가 무수히 많으므로 전혀 낙담할 필요가 없다.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경우 대부분 문제없이 성장하므로 의심 증상들이 발견되면 속히 전문의를 찾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