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보건당국이 베트남 등 해외 방문을 계획중인 경우 백신 접종 등 주의를 당부했다.
|
국내 홍역 환자는 2024년 총 49명, 올해 들어 3월 6일까지 총 16명이 발생했다. 모두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국내에서 환자와 접촉해 감염됐다. 특히 2024년 12월 2명과 올해 3월까지 발생한 확진자 중 13명은 베트남을 다녀왔다.
지난해 12월 이후 베트남 방문력을 가진 홍역 환자 13명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홍역 백신 접종력을 모르거나, 없는 사람들이다. 연령은 0세(3명)부터 50대까지 다양한데, 특히 4명은 1차 홍역 백신 접종 시기(12~15개월) 이전 영아다. 체류 기간은 최소 5일에서 최대 1.5개월이었고, 귀국 후 홍역 증상인 발열을 동반한 기침, 콧물 등 증상을 보이다가 발진이 발생했다.
따라서,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중국 등 홍역 유행국가 방문 또는 여행을 계획중인 경우, 반드시 홍역 백신 접종력을 확인하고, 접종력 확인이 어려운 경우 백신 접종후에 방문할 것이 권고된다.
홍역은 백신 1차 접종시 93%, 2차 접종시 97% 예방 가능한 만큼, 생후 12~15개월 및 4~6세 총 2회에 걸쳐 반드시 홍역 백신(MMR)을 접종해야 한다. 특히 면역체계가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에 감염되면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감염에 유의하기 위해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방문이 불가피하다면(생후 6개월이상 12개월 미만) 반드시 출국전에 홍역 가속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예방접종 후 방어면역 형성까지의 기간(보통 2주)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홍역 퇴치 인증국으로, 지난해부터 홍역을 검역감염병으로 지정중이다. 귀국 시 홍역의 주요 증상인 발열·발진이 있다면 입국장의 검역관에게 건강상태를 신고(Q-CODE 또는 건강상태질문서)해야 하고, 홍역으로 확진된 경우 정부에서 치료비를 지원한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