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민의 55%는 '장기적 울분 상태'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주요 감정과 정서 상태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응답자들의 12.8%는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2.5점 이상)을 겪고 있었으며 이들을 포함한 54.9%는 울분의 고통이 지속되는 '장기적 울분 상태'(1.6점 이상)였다. 특히 30대와 월 소득 200만원 이하 계층에서 '높은 울분' 비율이 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나이별로 보면, 심한 울분 비율은 30대에서는 17.4%, 60세 이상에서는 9.5%였다. 소득별로는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에선 21.1%, 월 소득 1000만원 이상 집단에서는 5.4%였다.
주관적 계층 인식별로는 '하층' 자처 응답자의 16.5%가 높은 울분을, '상층' 응답자는 15.0%, '중간층' 응답자는 9.2%로 나타났다.
우울감의 경우 전체의 33.1%가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30대가 가장 높았고, 20대·40대·50대·60세 이상이 뒤를 이었다. 소득별로는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에서 52.6%가 중간 이상 우울을 보였고, 월 1000만원 이상은 17.2%로 나타났다.
전체 불안 평균 점수는 1.76점으로, 월 200만원 미만 계층은 2.4점을 기록했다. 외로움 역시 전체 평균은 1.26점인데, 월 200만원 미만 계층은 1.5점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
지난 1년 동안 건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응답자의 47.1%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의 경험 비율이 55.4%로 가장 높았다. 월 소득 수준 별로는 200만원 미만 구간에서는 58.8%였고, 소득이 올라갈수록 경험 비율은 낮아져 1000만원 이상 구간에서는 38.7%를 기록했다.
스트레스 경험자에게 스트레스 유발 원인을 복수로 고르게 했더니 개인·가족의 건강 변화가 42.5%, 경제 수준 변화가 39.5%로 높게 나왔다. 또 응답자의 27.3%는 지난 1년 중 기존에 하던 역할이나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51.3%는 자살을 생각, 그중 13.0%는 실제로 시도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한 이들 중 60.6%는 정신건강 위기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했다. 주된 이유는 타인의 시선이나 낙인 등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경험 시 대처 방법'에 대한 복수 선택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털어놓고 도움을 구한다'가 39.2%로 가장 높았고, '혼자 참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가 38.1%였다. 전문가에게 도움을 구한다고 답한 비율은 15.2%에 불과했다.
국가가 제공하는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이용 경험은 10% 미만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9.7%), '정신건강 상담전화'(9.2%),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7.3%), '자살예방 상담전화'(6.9%) 순으로 집계됐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