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최근 감사에서 회장의 비리 등이 적발되며 홍역을 치르고 있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상근부회장 제도 도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총은 감사에서 거버넌스를 개편하라는 지적에 따라 과총발전위원회를 새로 구성해 개편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상근부회장제 등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총은 과기분야 학술 단체에 정부 지원금을 나눠주고 지원하기 위해 과기정통부 예산 지원을 받는 소관 기관이다.
회장은 3년 임기 비상근직으로 이사회에서 선거로 투표하며, 사무처는 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료 출신이 사무총장을 맡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5월 과기정통부가 종합감사를 통해 이태식 회장의 지인 몰아주기, 가족 해외출장 동반, 법인카드 사적 사용 등 의혹을 감사해 문책하라고 통보했고, 과총이 한 달 내로 이의제기하지 않으며 감사 결과가 확정됐다.
또 비상근인 회장이 과총 업무 전반에 상당수 관여하고 해외출장도 직접 다녀오는 등 문제를 일으킨 것과 관련해 거버넌스 개편도 진행할 것을 요구하면서 발전위가 새로 꾸려졌다.
발전위는 과학기술계 주요 인사들로 꾸려졌으며, 회장을 상징적 의미로 두는 상근부회장제 등을 비롯한 과총의 구조 개편방안과 함께 정관 개정 작업 등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십수년간 관료가 사무총장을 맡아온 만큼 상근부회장도 관료가 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과총이 과기정통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관변단체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과학기술계 한 관계자는 "과총은 처음부터 민간단체였는데 상근부회장 제도를 도입하면 민간단체의 정체성을 없애버리겠다는 것"이라며 "정상적인 회장이 있는 상태에서 제도를 도입하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정부가 일방적으로 단체를 먹어버리겠다는 게 된다"고 비판했다.
한편 임원을 징계할 수 있는 규정이 없어 문책 통보가 내려진 과총 회장 및 부회장단 등 감사 대상에 대한 징계 수위는 과총 감사의 감사결과 검토를 거쳐 이사회에서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과총 관계자는 "감사가 이사 몇 명과 검토해서 이사회에 (검토 결과를) 보고하면 이사회가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발전위원회에서는 내년 과총 60주년인 만큼 전반적으로 손을 볼 것은 손을 보고 제도 개선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hj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