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화웨이로 대표되는 중국 통신장비 업계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차세대 통신 기술 선점 흐름이 빨라지면서 국내 업계의 대응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컨설팅 기업 PwC는 전체 모바일 가입자 중 5G 비중이 2023년 18.8%에서 2028년 64.1%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5G가 이전 세대 대비 큰 장점을 제공하지 못해 전환 속도가 빠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2023∼2028년 전 세계 통신 산업은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연 2.9% 성장률이 예상되기도 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통신 산업 성장 저조에다 2019년 시작된 미국의 광범위한 제재 속에서도 화웨이가 AI·5G 기술력 강화에 성공하면서 혁신 역량과 시장 적응력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중국 내 300개 도시에서 5G와 6G 중간단계인 '5G-A'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며 1천만명 이상 이용자를 확보한 것이 미국의 기술 봉쇄에도 자체 기술 개발로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꼽혔다.
미국의 EDA(전자설계자동화) 도구 사용 제한에 대응해 자국 내 반도체 설계 도구 개발업체와 협력해 7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정 기술을 확보하는 등 통신 외 기술 자립 기반 구축에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통신장비 매출 비중 42%(화웨이 31%, ZTE 11%)를 차지했고,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보고서는 "중국이 5G-A 상용화에서 선두를 달리는 상황과 달리 국내 통신 3사는 5G 투자비 회수 부담과 시장 성숙도를 고려해 5G-A 투자에 보수적 접근을 보여 기술 격차 확대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내 네트워크 산업 경쟁력 저하가 우려되는 가운데 AI 기반 네트워크 기술 개발 및 국제 표준화 활동 참여를 확대하는 등 6G 시대에 대비한 통신 기술 주도권 확보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cs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