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여드름은 전 세계 인구의 약 80%가 경험하는 대표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특히 청소년기에는 85% 이상의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여드름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 바르는 연고나 경구약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치료가 환자에 따라 부작용이 생기거나 치료 효과에 한계가 있어 비약물적 치료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대표적인 에너지 기반 장비(EBD)와 화학적 박피(Chemical Peeling)를 중심으로 각 치료법의 작용 원리, 임상 효과, 장단점을 정리했다.
홍지연 교수(제1저자)는 "여드름은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니라 우울감, 불안 등 정신적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혜성 교수(공동저자)는 "최근 에너지 기반 장비(EBD)와 화학적 박피를 포함한 비약물 치료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여드름뿐만 아니라 흉터, 색소침착 등 이차적인 피부 변화까지 함께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활용 가치가 크다"며, "환자 맞춤형 통합치료의 일환으로 비약물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팀의 이번 연구는 SCIE급 저널 국제학술지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