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또다시 법정에 서기를 거부했다. 그는 17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다. 재구속 당일인 지난 10일에 이어 2차례 연속 불출석한 것이다. 내란 특검의 출석 요구도 3차례나 무시했다. 윤 전 대통령은 되레 법원에 구속적부심을 청구했다. 검찰총장을 지낸 인물이 전직 대통령이라는 이유로 절차적 수단을 동원해 수사와 재판을 방해하고 있는 모양새다.
윤 전 대통령은 스스로를 예외로 여기는 듯하다. 국법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국법을 통제하는 존재로 남고 싶어 하는 듯하다. 법 집행자였다는 이력이 이제는 법을 활용하는 방패로 쓰이고 있다. 권력자의 법 불복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그 행위는 제도를 시험하고, 원칙을 훼손하며, 법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린다. "나는 예외다"라는 태도가 반복되면, "그 누구도 예외가 없다"는 헌법의 기초 명제는 설득력을 잃는다. 전직 대통령의 반복된 불복·회피는 국민의 법 감정을 훼손시킨다.
법은 만인 앞에 평등해야 한다. 전직 대통령이라 해도 법 앞에선 그저 한 사람의 피의자일 뿐이다. 특검은 끝까지 단호하게 법 절차를 집행해야 한다. 법원도 정의 실현을 위해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반복된 조사 불응, 증거인멸 시도, 접견 특혜 의혹까지 모두 사법방해 정황에 해당한다. 전직 대통령이라는 지위는 결코 면책 사유가 아니다. 오히려 법 앞에서 더 무거운 책임을 져야 할 근거가 된다. 이제 남은 것은 사법정의의 실현이다.
jongwo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