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정은 출발에서부터 순위의 향방이 결정적으로 갈리는 경우가 많다. '출발이 반'이라는 격언이 딱 들어맞는 스포츠인 셈이다.
플라잉 스타트에선 사전 출발(플라잉)과 출발 지체(레이트)라는 출발 위반 제도가 적용된다. 사전 출발(플라잉)은 출발신호가 떨어진 후 0~1.0초 이내에 출발선을 통과해야 하는 규정을 어기고 0초 이전에 출발선을 통과하는 것. 출발 지체는 출발 신호 후 1.0초 이후 출발선은 통과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출발 위반을 하면 해당 선수는 실격 처리되어 순위에서 제외된다. 또 해당 선수가 포함된 승자투표권은 모두 환불된다. 선수도 출발 위반에 신경이 곤두설 수밖에 없다. 출전 정지, 차기 등급 심사에서 B2 강급 등 제재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플라잉 스타트 방식의 강점은 모터 기력이 다소 저조해도 타 선수를 압도하는 스타트 능력을 겸비한 선수라면, 1턴 주도권 경합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어 본인의 생각대로 경주를 풀어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
온라인 스타트는 6정의 보트가 계류장에서 출발신호(녹색등 점등)와 함께 동시에 출발한다. 이 경주 방식의 특징은 플라잉 스타트와 다르게 출발 능력보다는 모터 기력과 선수 개개인의 반응 속도가 승패를 좌우한다는 것. 특히 모터의 기력이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수의 기량 보다 모터의 기력과 코스를 중점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온라인 스타트에서 모터 기력이 엇비슷하다면 체중이 적게 나가는 선수들이 유리해 여자 선수들이 입상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3주간 손유정(16기, B1), 김미연(17기, B2), 신현경(9기, B1), 이수빈(16기, B1) 등 중하위권 여성 선수들이 온라인 스타트 경주에서 입상에 성공한 바 있다.
이서범 경정코리아 경기분석 위원은 "불꽃 튀는 스타트 경합 속에 노련한 1턴 선회를 선보이는 플라잉 경주, 모터의 기력과 선수의 피트력(반응 속도)을 잘 살펴 안정적인 경주분석을 할 수 있는 온라인 경주 모두 저만의 매력이 있다"고 평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