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이의진 이미령 기자 =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7일 이뤄진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2차 시도에 대해 적법 절차임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 체포영장 집행에는 서울구치소 CRPT(교정시설 기동순찰팀) 요원을 포함한 교도관 10여명이 투입됐다고 한다.
오 특검보는 "최소한의 물리력을 사용했고, 부상 위험 보고에 (집행을) 중단했다"며 "현장에서 변호인이 면담하겠다고 해서 허용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변호인이 출입하지 못하는 곳에 들어와 있어서 그 경위를 확인 중"이라고 덧붙였다.
오 특검보는 또 "집행과 관련해 법원이 적법하게 발부한 영장을 피의자 수감 상황까지 고려해서 집행한 상황이다. 적법하게 집행했다"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체포영장 집행 무산 이후 기자회견을 열고 "특검 수사팀이 무리하게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다"며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한 데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다만 오 특검보는 첫 체포영장 집행 무산 당시 윤 전 대통령의 '속옷 저항'을 언급한 언론브리핑이 논란이 된 것을 의식한 듯 "불필요한 논란이 없도록 더 확인시켜드리지 않겠다"며 더 이상의 언급은 삼갔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일 체포영장 집행 시도가 무위로 돌아간 당일 언론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이 속옷 차림으로 누워 영장 집행을 완강하게 거부했다고 공개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 측은 "집행에 불응한 정황을 설명한다며 언론 브리핑을 가장한 '인신 모욕'의 장을 만들었다. 인격을 공개적으로 조롱했다"고 반발했다.
윤 전 대통령은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가 관여한 공천개입 의혹으로 김건희 특검의 수사선상에 올랐다.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같은 해 치러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공천받도록 힘써줬다는 의혹이다. 명씨는 총 81차례에 걸쳐 불법 여론조사를 해준 것으로 파악됐다.
2021년 10월 국민의힘 경선 토론회에서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개입 의혹에 대해 "한 넉 달 정도 (위탁관리를) 맡겼는데 손실이 났다"는 허위사실을 공표해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도 받는다.
특검팀은 지난달 29일과 30일 윤 전 대통령에게 소환을 통보했으나 건강 악화 등을 이유로 연이틀 불출석하자 법원에 체포영장을 청구해 발부받았다. 체포영장 시한은 이날까지다.
체포영장 기한이 만료됨에 따라 특검팀은 체포영장을 다시 청구해 발부받아 추가 구인 조사를 시도할지, 대면조사 없이 곧바로 재판에 넘길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already@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