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치매 야기하는 '사회적 고립', 청소년 뇌 기능 발달에도 영향

기사입력 2025-08-11 10:54


치매 야기하는 '사회적 고립', 청소년 뇌 기능 발달에도 영향
이미지=픽사베이

사회적 고립이 노년기 치매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진 가운데, 청소년기 뇌 기능 발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최근호에 게재된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이정희 교수, 생리의학교실 정성권 교수와 한국뇌연구원 이태관 책임연구원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생후 4~11주 된 수컷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터널, 회전 바퀴, 둥지 등 물리적 자극과 사회적 교류가 풍부한 환경(Environmental Enrichment)과 외부 자극 없이 단독 사육되는 사회적 고립 환경(Social Isolation)에서 각각 사육했다. 이후 생쥐의 앞발, 수염, 시각, 후각 등 다양한 감각기관을 자극한 뒤 뇌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감각 반응 등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으로 파악했다.

연구 결과, 자극과 사회적 교류가 풍부한 환경에서 자란 생쥐는 고차원적 시각 및 촉각 처리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됐다. 신경계가 적절한 운동 반응을 실현하기 위해 감각 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감각-운동 통합'(sensorimotor integration) 기능도 강화됐다. 반면 사회적 고립 환경에 사육된 생쥐는 뇌 전체의 기능적 연결이 저하됐고, 특히 후각 영역에서 자극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면서 냄새를 맡는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연구팀은 청소년 및 청년기에 경험하는 생활 환경이 뇌의 통합적 감각 기능 및 신경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봤다. 사회적 교류는 뇌 기능을 향상하지만, 사회적 고립은 뇌의 감각 처리 신경망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회적 고립이 인지 기능 저하 및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것, 고독과 고립이 인지감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는 점은 여러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앞서 일본 연구팀은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접촉이 거의 없는 노인들은 사회적 접촉이 잦은 사람들보다 전반적인 뇌 부피와 치매 영향을 받는 뇌 부위 크기가 많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우리나라 연구에서도 객관적 사회적 고립은 초기 노인, 주관적 사회적 고립은 후기 노인에게서 치매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거론된 바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