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문화유산' 위한 사연댐 수위 조절용 수문…'낙동강 수자원 다변화' 변수
환경부는 김성환 장관이 26일 낙동강 수계 댐 후보지 4곳(예천군 용두천댐·김천시 감천댐·청도군 운문천댐·울주군 화야강댐)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환경부는 댐 신설에 대해 재검토한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이 대통령은 대선 때 '홍수와 가뭄에 도움이 안 되고 주민도 원치 않는 신규 댐 설치 추진 (방침을) 폐기하겠다'고 공약했다.
이에 눈길을 끄는 점은 이날 환경부가 김 장관이 '지역 내 찬반 논란이 있는 후보지'도 방문한다고 밝힌 점이다. 이 후보지는 감천댐을 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작년 7월 14개 댐 후보지를 발표한 뒤 올해 3월 지역 내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4곳과 지방자치단체가 댐 신설 신청을 철회한 1곳을 제외한 9곳을 댐 건설 추진지로 확정했다.
감천댐은 이날 장관이 방문하는 다른 댐들과 마찬가지로 지난 3월 추진이 확정됐던 곳이다.
다만 이후에도 지역 내 찬반 논란이 그치지 않고 이어져 왔다.
지자체는 홍수 예방을 위해 감천댐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가운데 주민 일부는 감천은 제방이 잘 정비돼 홍수 위험이 크지 않고 이미 홍수조절용 댐(부항댐)이 존재한다는 이유로 댐 신설에 반대한다.
김 장관은 이날 반구대 암각화도 찾는다.
반구대 암각화는 울산 울주군 사연댐 상류 저수 구역에 위치, 사연댐 수위가 53m를 넘으면 물에 잠긴다. 최근에도 물에 잠겼다가 36일 만에 물 밖에 나오기도 했다.
환경부는 2027년까지 사연댐에 수문 3문을 설치해 2028년부터 사연댐 수위를 암각화 높이 이하로 유지하기로 하고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다.
환경부는 암각화가 최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만큼 사연댐 수문을 최대한 앞당겨 설치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사연댐은 울산시 생활용수 공급원으로 사연댐 수위를 낮추려면 울산시에 공급할 물을 다른 곳에서 추가로 끌어와야 한다.
문제는 최근 환경부가 '낙동강 수자원 다변화 사업' 방향을 틀기로 가닥을 잡으면서 사연댐 수위를 낮추기 복잡해졌다는 점이다.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1991년 페놀 유출 사건 등으로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삼기 불안하다는 여론에 추진되는 사업으로 경북권에 낙동강 물 대신에 댐에 저장된 물이나 복류수(지표면 아래 물)를 공급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 정부 때까지 환경부는 대구시가 제안한 '맑은 물 하이웨이'를 정부 대안으로 삼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맑은 물 하이웨이는 안동댐 하류에서 대구 문산·매곡정수장까지 110㎞의 도수관을 놓아 하루 46만t의 물을 공급하는 방안이다.
현재 환경부는 맑은 물 하이웨이 대신 그 이전 추진했던 경북 구미시 해평취수장에서 대구와 경북에 하루 30만t씩 물을 공급하는 방안을 재추진하기로 가닥을 잡은 상황이다.
이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 때인 2022년 관계기관이 맺은 '맑은 물 상생 협정'이 아직 유효하다는 판단도 최근 내렸다.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추진됐다면 대구시가 안동댐 물을 받아 가며 여유가 생긴 운문댐 물을 울산시가 하루 4만9천t씩 가져가면서 사연댐 수위를 낮추기가 쉬워진다.
그런데 '해평취수장 활용안'을 추진한다면 사연댐 수위를 낮춤에 따라 울산시에 부족한 물을 어떻게 확보할지 재논의해야 한다.
환경부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계획을 되도록 연내, 최소 내년 지방선거 전에는 확정할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어떤 방안이 되든 반구천 암각화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사연댐 수위를 낮추는 데 필요한 물량을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jylee24@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