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30세 미만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 13년만에 2.2배…유병률은 4배 급증"

기사입력 2025-08-26 14:53


"30세 미만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 13년만에 2.2배…유병률은 4배…
 ◇1형 및 2형 당뇨병의 발생률 및 유병률 변화 (30세 미만 인구 10만명당). 자료-질병관리청

과거 소아·청소년에서는 자가면역이상으로 인한 췌장 기능손상에 따른 인슐린 결핍이 원인인 1형 당뇨병이 주로 발생했으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으로 발생하는 2형 당뇨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 신규 2형 당뇨병 진단이 일본에서 80%, 대만에서 50% 증가했을 정도다.

이와 관련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국제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지난 13년간(2008~2021)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의 임상·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13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국내 최장기간 및 최대규모의 데이터 활용 연구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 연구팀이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30세 미만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 13년만에 2.2배…유병률은 4배…
 ◇1형 및 2형 당뇨병 유병률 변화 및 성차간 위험.. 자료-질병관리청
30세 미만에서 1형 및 2형 당뇨병의 연도별 발생률과 유병률 추이를 확인한 결과,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증가했고 유병률은 73.3명에서 270.4명으로 약 4배 급증했다. 또한 같은 기간 1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유병률은 21.8명에서 46.4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성별에 따른 유병률 차이를 보면. 1형 당뇨병은 여성에서 26% 더 많았고, 2형 당뇨병은 남성에서 17% 더 많았다. 연령을 4구간(0~5세, 6~12세, 13~18세, 19~29세)으로 살펴본 결과, 2008년 대비 2021년의 발병률은 1형 당뇨병의 경우 영유아기(0~5세)에서, 2형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저소득층에서는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이 3.7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소아와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서의 건강 형평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