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미국 관세 압박에 국내 ICT 스타트업 경쟁력 '흔들'

기사입력 2025-09-02 07:51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와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각각 0.9%,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건설업 불황 등 영향으로 올해 1월 정부가 내놓은 수치(1.8%)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으로 마이너스 성장한 뒤로 5년 만에 가장 심한 불황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1%대에 그쳤다. 사진은 24일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2025.8.24 xanadu@yna.co.kr
투자 위축·비용 증가 우려…KIC 보고서 경고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중국, 대만 등 공급망에 의존하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스타트업들이 미국 관세 정책 사정권에서 비용 감축, 공급망 다변화, 적극적 투자 유치 등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2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산하 KIC(Korea Innovation Center) 실리콘밸리가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ICT 스타트업 상황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ICT 스타트업 중 미국에 전자제품,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하드웨어를 수출하는 곳들은 우리나라에 부과된 관세 15% 이상을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기업이 중국 등 우리나라보다 관세가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있는 국가 부품을 쓸 경우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높은 관세는 스타트업의 미국 시장 진출과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미국 시장 외 동남아, 인도 등 신흥 시장 진출을 모색할 것을 제언했다.

아울러 중국 중심의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공급처를 확보하는 한편 내부 생산 역량 강화와 비용 절감책 마련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또 관세 부과로 인한 상품 경쟁력 저하나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증가 외에 투자가 얼어붙을 수 있는 점도 우려했다.

무역 불확실성과 수익성 하락 우려로 인해 벤처캐피털 및 투자자의 ICT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가 저조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미국 내 제조 시설 확대를 추진하는 대기업들과 달리 스타트업은 자원과 자본 부족으로 현지화 정책 수립이 어려운 상황도 경쟁력 저하 요인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ICT 스타트업이 기술과 서비스 차별화를 통해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하는 한편 공급망 재편, 시장 다변화, 투자 유치 등에서 유연한 전략을 세울 것을 조언했다.

csm@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