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9월에도 폭염·해수온도 상승…비브리오 식중독 주의해야"

최종수정 2025-09-05 11:00

9월 들어서도 전국 곳곳에서 체감온도가 35℃를 웃도는 폭염이 지속되고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장염 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등으로 인한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중독 예방수칙을 적극 실천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건수는 이전 5년 대비 약 83% 감소(52건→9건)했지만, 수온이 상승하는 7~9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7월 2건, 8월 4건, 9월 3건 등이다.

특히, 장염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증식을 시작하여 20~37℃에서 매우 빠르게 증식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날것으로 섭취하는 경우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수온이 상승하는 5월~10월에 활발히 증식하며 오염된 어패류 등을 생식하거나 오염된 바닷물이 상처 난 피부에 접촉해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만성 간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감염되는 경우 패혈성 쇼크로 사망(사망률 50%)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9월에도 폭염·해수온도 상승…비브리오 식중독 주의해야"
 ◇'비브리오 예측시스템'. 이미지=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는 비브리오 식중독 예방을 위해 활어 등 수산물을 취급하는 음식점의 수족관 물이 비브리오균에 오염됐는지를 신속검사하고 있다. 아울러 비브리오패혈증균 예보 및 예보 단계별 대응요령을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국민들이 즐겨 찾는 주요 낚시터, 해루질 포인트, 해수욕장에 대한 비브리오패혈증균 예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있다.

식약처는 "여행객이 해수욕장 등을 방문할 때에는 비브리오균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