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들어서도 전국 곳곳에서 체감온도가 35℃를 웃도는 폭염이 지속되고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장염 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등으로 인한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중독 예방수칙을 적극 실천할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건수는 이전 5년 대비 약 83% 감소(52건→9건)했지만, 수온이 상승하는 7~9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7월 2건, 8월 4건, 9월 3건 등이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은 수온이 상승하는 5월~10월에 활발히 증식하며 오염된 어패류 등을 생식하거나 오염된 바닷물이 상처 난 피부에 접촉해 감염될 수 있다. 특히 만성 간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감염되는 경우 패혈성 쇼크로 사망(사망률 50%)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식약처는 "여행객이 해수욕장 등을 방문할 때에는 비브리오균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비브리오 예측시스템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