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중국의 8월 외환보유고가 달러 약세 등의 영향으로 2016년 1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중인(中銀)증권의 관타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외환보유고 증가 배경과 관련,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달러 가치가 하락했으며 세계적으로 금융자산 가격이 올랐고 달러 대비 다른 화폐 가치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지난달 2.2% 하락한 97.8로 떨어졌고, 엔·유로·파운드 등 주요 통화 가치는 달러 대비 2%대 상승했다.
외환보유고는 달러화 기준으로 평가하는 만큼 달러 이외 통화 가치가 상승하면 외환보유고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지난달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14bp(1bp=0.01%포인트) 하락한 4.23%를 기록한 반면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주가지수는 1.9% 올랐다. 달러화가 약해지면 세계적으로 유동성이 공급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미중 갈등 심화와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각국 중앙은행이 금 보유를 늘려가는 가운데,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8월 말 기준 중국의 금 보유량이 전월 대비 6만 온스 늘어난 7천402만 온스를 기록,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보유액 기준으로 중국의 8월 말 금 보유액은 99억 달러(약 13조7천억원) 늘어난 2천538억 달러(약 352조8천억원)였다.
중국의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금 비중은 전월 대비 0.23%포인트 오른 7.64%로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관 이코노미스트는 "무역 갈등 심화, 미국 정책의 변동성, 지정학적 사건 빈발 등으로 국제적으로 외환보유고 시스템의 다극화 추세가 빨라지고 있다"면서 금이 유로화를 제치고 국제 준비자산 순위에서 달러에 이어 2위라고 설명했다.
bscha@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