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만성 불면증이 있으면 뇌 노화가 가속화되고, 치매나 경도인지장애(MCI)에 걸릴 위험이 불면증이 없는 사람보다 40%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카르발류 박사는 "만성 불면증 환자의 뇌에 변화가 나타나고 사고력이 더 빠르게 저하되는 현상을 확인했다"며 "불면증은 다음날 기분이나 피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뇌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불면증과 인지 기능 저하 사이의 관계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며 노년층에서 만성 불면증과 장기적인 인지 기능, 전반적 뇌 건강 간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건강한 노인 2천750명(평균 연령 70.3세)을 평균 5.6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중 16%가 만성 불면증을 겪고 있었다. 만성 불면증은 일주일에 3일 이상 수면에 어려움이 있고 이런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다.
참가자들은 매년 인지 검사와 기억력 검사를 받았다. 일부는 뇌 MRI·PET 검사를 통해 뇌 손상 흔적과 알츠하이머병 관련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s) 축적 여부를 확인했다.
연구 기간에 경도인지장애나 치매로 발전한 비율은 만성 불면증 그룹이 14%로 불면증이 없는 그룹(10%)보다 높았다.
나이, 고혈압, 수면제 복용, 수면무호흡증 같은 변수를 보정한 뒤에도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경도인지장애나 치매가 생길 확률이 40% 더 높았고, 사고력 관련 검사 점수도 더 빠르게 떨어졌다.
또 과거 2주간 평소보다 잠을 덜 잔 그룹과 더 잔 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면이 감소한 그룹은 인지 검사 점수가 수면 증가 그룹보다 낮았고, 나이가 4살 더 많은 것과 같은 수준이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위험 요인인 'APOE ε4' 유전자를 가진 사람들은 뇌 백질 손상 징후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더 많았고, 기억력과 사고력 저하 속도도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불면증은 뇌가 평균 3.5년 더 빨리 늙는 것과 같은 노화 가속화를 일으켰다며 이는 불면증이 직접적으로 뇌 노화를 '유발한다'는 인과관계를 입증하지는 않지만 그 연관성은 명확히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카르발류 교수는 "사고력 저하가 더 빠르고, 뇌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때 만성 불면증은 미래의 인지 저하에 대한 조기 경고 신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면증은 아밀로이드 축적뿐 아니라 뇌혈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만성 불면증 치료는 수면 질 향상뿐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뇌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Neurology, Diego Z. Carvalho et al., 'Associations of Chronic Insomnia, Longitudinal Cognitive Outcomes, Amyloid-PET, and White Matter Changes in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https://www.neurology.org/doi/10.1212/WNL.0000000000214155
scitech@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