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가 '공부잘하는 약'으로 알려지며 오남용 우려가 커진 가운데, 처방 건수가 급증하고 부작용 보고도 수백 건에 달해 청소년 소아 환자 대상 안전관리 공백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주요 증상은 ▲식욕감소(49건), ▲불면(30건), ▲구역 및 구토(21건), ▲두근거림(12건), ▲자극과민성(7) ▲틱(7건) ▲두통(5건) ▲어지러움(5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방 환자의 특성을 보면 남성이 78.6%, 여성이 26.8%로 보다 훨씬 많았고, 지역별로는 서울(25.4%)과 경기(25.2%) 등으로 수도권에 집중됐다.
서미화 의원은 "ADHD 치료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처방이 늘어나는 만큼 필요한 환자들이 안정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며, "특히 마약류 약물의 오남용을 줄이고 국민이 안전하게 처방받을 수 있도록 약물 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